
“단 한 명의 사회학자의 책만 지구에 남겨놓을 수 있다면, 어떤 사회학자를 선택할 건가요?”라고 누군가 묻는다면, 아마도 베버와 뒤르켐 둘을 두고 한참은 고민할 것 같습니다. 고민 끝에 어렵게 한 명을 선택하겠지만요.
어제는 뒤르켐의 생일이었습니다. 사회학의 역사에서 굴지의 업적을 가진, 또 신학과 철학으로 점유된 당시의 시대상황에서 사회학을 다른 분과학문과 구별되는 하나의 과학으로서 만든 인물입니다.
뒤르켐의 4대 저작으로는 <사회분업론>, <사회학적 방법의 규칙들>, <자살론>, <종교생활의 원초적 형태>가 있습니다.
⠀
<사회분업론>은 뒤르켐의 박사논문이자, 가장 중심이 되는 저서이며 사회학의 역사에서도 손에 꼽힐 저작입니다. 뒤르켐은 이 책에서 근대세계의 특징을 서술하는데요, 기계적 연대와 유기적 연대가 여기에서 나와요. 전통사회는 스스로 의식주를 해결할 수 있는 사회였던 반면 근대사회는 그럴 수 없고, 서로 차이를 가지고 서로에게 의존해야 사회가 성립할 수 있게 된다고 판단합니다. 또 그 유명한 아노미가 이 책에서 나옵니다.
⠀
<사회학적 방법의 규칙들>은 사회학의 연구대상으로서 ‘사회적 사실’을 제시합니다. 여기서 뒤르켐은 사회학이 사유와 사색을 통해 연구되는 철학과 다르게 ‘경험과 사실’을 통해 연구되어야함을 제시하고, 사회적 사실을 인간 내적인 것이 아닌, 인간 외부에서 인간을 강제하는 것으로 개념화하면서 심리학과 구별되는 위치로 사회학을 정초합니다. 사회적 사실은 인간 외부에 존재하며 인간을 강제함과 동시에 인간 내부에 자리잡는 이중적인 제약인데요, 이는 개인과 사회를 가로지르며 인간의 존재를 규정하는 것입니다.
⠀
<자살론>은 아마도 가장 유명하고, 대중적으로 읽을 수 있는 책일 겁니다. 자살론에서 뒤르켐은 개인적인 문제로 치부되던 자살을 사회적인 문제로 전환시킵니다. 지금에선 비판받을 내용이지만, 뒤르켐은 자살이 정신적 문제와 상관없이 사회적인 문제로 인한 것이라 주장합니다. 뒤르켐은 이 책에서 병사보다 장교의 자살이 더 많은 것을 밝히는데 이는 통념과는 다른 과학적인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그가 만든 이기적/이타적/아노미적/숙명적 자살 등의 이런 유형론은 너무나 유명하죠. 지금에 와서 비판받지만 뒤르켐은 여기서 통계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데 이는 당시에는 획기적인 변화였을 겁니다.
⠀
<종교생활의 원초적 형태>는 뒤르켐 후기저작으로 뒤르켐의 사상이 농축된 작업이라고 평가받습니다. 여기에서 뒤르켐은 칸트의 근대적 인식론을 사회적 인식론으로 극복하고, 종교 연구를 통해 사회를 설명합니다. 여기서 뒤르켐은 성/속의 구별로서 종교의 구획을 설정하고, 사회의 관념이 토템으로, 토템이라는 비인격적 힘을 향한 숭배가 사회의 도덕적 의무로 이어지는 사회=신, 사회구성원=신도라는 유비를 통해 사회를 설명합니다.
⠀
이외에도 달력, 시간 등의 분류 이면에 숨겨진 원인을 탐구하는 지식사회학 작업인 <분류의 원시적 형태들> 같은 책도 중요합니다.
뒤르켐 단독 입문서는 아쉽게도 절판이고, 입문을 위하신다면 김광기 선생님이 쓰신 <뒤르켐 & 베버>를 보시길 바랍니다. 뒤르켐 단독 연구서로는 민문홍 선생님의 <에밀 뒤르케임의 사회학>, 김덕영 선생님의 <에밀 뒤르케임: 사회실재론>을 추천해드립니다. 오늘은 간략히 했고, 언젠가 천천히 뒤르켐을 설명해보겠습니다.
⠀
여담: 뒤르켐인가, 뒤르케임인가? Émlie Durkheim은 알퐁스 도데의 <마지막 수업>의 배경인 알자스-로렌 지방 출신입니다. 그 소설에도 알 수 있듯, 그 지역은 독-불 접경지이자, 독일어권 생활권이기도 해서 프랑스의 Durkheim 학회장은 그 지역의 언어 생활(독일어)을 반영해 뒤르케임(아마 정확히는 두어카임 정도)으로 읽기를 제안했고, 생전 Durkheim은 편지에 나는 프랑스인이니 뒤르켐(아마 정확히는 뒤흐캉 정도)으로 말해주길 요청했다고 합니다. 실제 프랑스에서는 저 둘을 그냥 자유롭게 사용한다고 하니, 그냥 편한대로 쓰면 될 것 같습니다. 저는 짧아서 뒤르켐파입니다.
'사회학 > 에밀 뒤르켐 Émile Durkhei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평: 에밀 뒤르켐, 자살론 (0) | 2021.08.14 |
---|---|
김덕영의 <에밀 뒤르케임: 사회실재론> 도서출판 길 (4) | 2021.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