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ME PRINCIPLES OF STRATIFICATION(DAVIS AND MOORE, 1945)를 읽고
Kingsley Davis와 Wilbert E. Moore의 ‘SOME PRINCIPLES OF STRATIFICATION’라는 논문은 사회계층화와 사회질서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 논문에서 저자들은 크게 사회계층화의 기능적 필요, 지위 결정의 두 가지 요소, 주요 사회기능과 사회계층화, 계층화된 시스템의 변화, 외적조건 등의 주제를 다룬다.
우선 사회계층화의 기능적 필요라는 주제는 이 논문이 다루는 다른 주제보다 더 중요한 이론적 함의를 다루고 있는 것 같다. 이 주제에서는 사회계층이 왜 사회에 필요한지에 대해 다룬다. 여기서 저자들이 강조하는 것은 사회계층이 보편적이고 기능적인 역할을 감당한다는 사실이다. 일종의 지위는 그 지위 자체를 성취하기 위한 동기와 지위 안에서 지위가 가진 의무를 중요하게 수행하면서 사회의 기능적 요건을 충족시킨다. 또 이런 다른 지위는 사회질서의 일부로서 이에 따른 보상과 분배 그리고 사회의 권리와 특권들은 불평등하며 이것들은 사회계층화 현상을 발생시킨다. 다음 지위 결정의 두 가지 요소에서는 지위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사회적 요인과 개인의 재능을 지적한다. 이러한 결정 요인들은 기능적 중요성에 따라 사회에서 차등적인 보상을 받게 된다. 그 다음으로 주요 사회기능과 사회계층화에서는 종교, 정부, 부·재산과 노동, 전문 지식 등의 지식들이 어떻게 사회계층화와 연관되는 지에 대해서 다룬다. 계층화된 시스템의 변화에서는 전문화의 정도, 기능주의적 강조의 본질, 부당한 차이의 규모, 기회의 정도, 계층현대의 정도 등의 내용을 가지고 시스템 변화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외적조건에서는 문화발전단계와 다른 사회와 관련된 상황, 사회의 규모 등에 의해 사회계층이 받는 영향에 대해 설명한다.
이 논문은 큰 틀에서 기능주의 이론에 입각해서 쓰인 사회계층화에 관한 논문이다. 글의 이론의 핵심적인 부분은 사회계층화 현상이 사회마다 조금씩 다른 양상을 지니지만 그런 차이들을 감안한다고 하더라도, 사회계층화 현상이 보편적인 현상이라는 것과 사회계층이 사회의 기능을 충족시킨다는 것이다. 이런 기능주의 이론은 사회학의 창시자인 에밀 뒤르켐의 이론적 소여를 따르고 있고 특별히 이 논문에서는 탈코트 파슨스의 기능주의적 시각도 읽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기능주의 관점에서 사회계층화에 따른 불평등은 보편적인 현상이며, 차등적 보상과 지위는 사회를 유지하는 하나의 기능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사회에 필요한 것이 된다. 기능주의 이론이 주장하는 불평등은 두 가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첫 번째, 사회계층화와 불평등은 시·공간에 따라 변화하는 유동적인 현상이다. 기능주의 이론에서의 불평등은 보편적 현상임을 강조한다. 그러나 사회마다 차등적 보상을 받는 지위들은 가변적인 것들이며 또 급격하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는 더욱 변화의 속도가 상승할 것이다. 두 번째, 기능주의 이론은 동어반복적인 논리적 오류를 지니고 있다. 기능주의 이론에서는 사회의 각 기능들이 필요에 의해 존재한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기능주의 이론은 동시에 존재하기 때문에 필요한 것이라는 논리적 오류를 지니고 있다. 이 논문 또한 차등적 보상과 지위가 있어서 사회가 정상적으로 작동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지금 존재하는 불평등 또한 사회적 필요에 의한 것이라고 밖에 설명할 수 없다. 기능주의 이론의 한계이다. Kingsley Davis와 Wilbert E. Moore의 논문은 사회에 존재하는 사회계층의 현상을 설명하는 데에 적합해 보인다. 예를 들어 ‘사회에는 차등적 보상과 지위가 존재하며, 이것은 사회의 필요에 따른 사회적 합의의 결과이다.’라는 식의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 그렇지만 이 논문은 사회계층은 동학 내지는 사회변동과 역사성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하고 또 논리적인 한계도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2017.봄
'사회학 > 사회불평등, 사회계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사회의 새로운 빈곤 문제, <새로운 빈곤> (0) | 2020.08.14 |
---|---|
우리 시대의 자본론, 『21세기 자본』 (0) | 2020.08.14 |
능력주의, 업적주의, 실력주의, 메리토스크라시, Meritocracy에 관해. (0) | 2020.08.14 |
서평: 아네트 라루의 불평등한 어린 시절(Unequal Childhoods) - 교육 불평등에 관한 사회학적 기술 (0) | 2018.12.08 |
불평등과 사회적 위험 : 건강·사회문제지수를 중심으로(황선재, 2015)를 읽고 (0) | 2018.03.13 |